자기개발

팀원에게 동기를 주는 피드백 말하기 스킬

게임교수 2025. 4. 13. 00:19
반응형

혼내지 않아도, 팀원이 스스로 잘하게 만드는 피드백

피드백은 사람을 바꾸는 게 아니라, 사람 안의 동기를 꺼내주는 기술입니다.
말 한마디로 팀원이 더 의욕을 낼 수도 있고, 주저앉을 수도 있죠.

이번 글에서는 팀장/리더가 꼭 알아야 할
‘동기 부여형 피드백’ 말하기 스킬을 정리해봤어요.


🎯 1. 잘한 점은 ‘구체적으로’ 칭찬하라

“수고했어”보다 “어떤 점이 좋았는지”가 중요!

  • ❌ “이번 발표 좋았어.”
  • ✅ “이번 발표에서 핵심을 3분 안에 정리한 게 특히 인상 깊었어.”

💡 왜 좋은지 말해주면, 팀원은 그 행동을 반복하고 싶어져요.


💬 2. 개선 피드백은 ‘사실 + 의도 + 제안’ 순서로

비난 대신 ‘같이 해결하자’는 뉘앙스!

  • ❌ “왜 이렇게 늦게 했어?”
  • ✅ “보고서가 마감보다 하루 늦게 올라왔더라. 혹시 이유가 있었을까? 다음엔 하루 전에는 공유되면 좋겠어.”

💡 상대방을 방어적으로 만들지 않는 게 핵심!


🧠 3. “잘하고 있어”는 ‘성장 언어’로 바꾸자

결과보단 ‘과정’과 ‘노력’을 칭찬해요.

  • ✅ “처음보다 말하는 흐름이 훨씬 자연스러워졌어.”
  • ✅ “이전보다 빠르게 자료를 정리한 점, 확실히 성장한 것 같아.”

💡 팀원이 ‘나는 발전 중이야’라는 감정을 느끼면, 스스로 더 하고 싶어져요.


🧭 4. 피드백은 ‘1:1로, 짧게 자주’

공개적인 피드백은 위축감을 줄 수 있어요.

  • 1:1 슬랙 메시지, 커피 한잔 타이밍, 주간 미팅 끝나고 잠깐 등
  • “이거 하나만 말해주고 싶었어~”처럼 가볍게!

 

💡 짧고 자연스러울수록, 팀원이 부담 없이 받아들여요.


🛠 상황별 피드백 예시

🌟 성과 좋았을 때

“이번 작업 진짜 잘했어” →
✅ “이번 디자인, 사용자 입장에서 정말 간결해서 좋았어. 디테일 신경 쓴 거 느껴졌어!”

🌀 실수했을 때

“왜 그렇게 했어?” →
✅ “그 방식은 조금 위험했을 수도 있는데, 어떤 의도였는지 궁금했어. 다음엔 이런 방식도 좋을 것 같아.”

🧗 도전 앞에 주저할 때

“할 수 있으니까 해봐” →
✅ “처음엔 누구나 어렵지. 근데 네가 지난번에도 그런 식으로 잘 해냈잖아. 그걸 다시 한번 믿어봐.”


✨ 마무리 꿀팁: 피드백 마무리는 이렇게!

  • “앞으로가 더 기대돼”
  • “이번 경험이 다음에도 분명 도움이 될 거야”
  • “너무 고생했어. 덕분에 팀 전체가 더 나아졌어”

→ 피드백을 **‘신뢰의 표현’**으로 마무리하면, 팀원은 신뢰받는 느낌을 받아요.


📌 요약 키워드:

  • 구체성
  • 의도 파악
  • 과정 중심
  • 짧고 자주
  • 칭찬은 디테일로, 지적은 제안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