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시대] – 우리가 갈라지는 이유

대한민국에서 착하게 살면 바보 되는 이유

게임교수 2025. 4. 21. 07:46
반응형

대한민국에서 착하게 살면 바보 되는 이유

“성실하게 살면 보상받는다.” “법을 지키는 사람이 손해 보지 않는 사회.”

이런 말들은 오랫동안 ‘정의로운 사회’의 기준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런 가치관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오히려 더 많은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건 아닌가요?

착하게 살면 바보가 되는 사회. 그 이유를 하나씩 파헤쳐봅니다.

1. 성실과 착함은 언제부터 약점이 되었나

규칙을 지키는 사람은 업무 속도가 느려 보이고,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은 기회를 놓칩니다. 양보하는 사람은 뒤로 밀리고, 욕심 없는 사람은 경쟁에서 밀립니다.

결국 사회는 '성실한 사람'을 응원하면서도 실제로는 '비효율적'이라며 제거해버립니다. 착한 사람은 살아남지 못하는 구조, 이제는 모두가 알아버렸습니다.

2. 편법과 꼼수는 전략이 되었다

“정직하게 일해서 월급 받는 게 가장 멍청한 짓.” 이런 말을 농담처럼 던지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그 말이 농담처럼 들리지 않는다는 게 문제입니다.

  • 📌 탈세를 하면서 더 부유해지는 자영업자
  • 📌 부동산 갭투자로 돈 번 사람들
  • 📌 논문·인턴·스펙 위조로 진입한 상위층

법을 지키고, 줄 서고, 도덕을 지킨 사람이 오히려 뒤처지는 현실. 이 사회는 편법을 ‘능력’으로 포장하고 있습니다.

3. 정직은 선택이 아닌 ‘손해’가 되었다

윤리 교과서에서 배운 정의와 양심은 더 이상 현실에서 통하지 않습니다. 세상을 정직하게 살겠다고 마음먹은 사람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은 바로 ‘현실’입니다.

정직한 말은 듣기 불편하고, 정확한 업무는 번거롭고, 착한 사람은 이용당하기 좋습니다.

4. 그래도 우리는 왜 착하게 살아야 하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함을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인간답게 사는 최소한의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손해 보기 싫어 '나쁜 선택'을 하기 시작하면 그 사회는 결국 모두가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는 지옥이 됩니다.

착하게 살면 바보가 되는 이유는 착한 사람이 사라졌기 때문이 아니라, 착한 사람을 이용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5. 마무리 – 정의를 지키는 사람이 이득 보는 사회는 가능한가

정의롭고 성실한 삶이 손해가 되는 사회는 오래가지 못합니다. 무너진 신뢰는 다시 회복되기 어렵고, 사람들은 냉소 속에 자신을 숨깁니다.

착하게 살아도 괜찮은 사회, 지키는 사람이 보호받는 구조, 그게 우리 모두가 함께 살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20대는 왜 50대를 싫어하게 됐는가 – 세대 혐오의 진짜 이유**를 다룹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