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란

AI는 어떻게 공부할까? –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까지 비전공자도 이해하는 AI 학습 방식

게임교수 2025. 4. 22. 08:09
반응형

AI는 실제로 어디에 쓰일까? – 우리가 몰랐던 기술 이야기, 사람 이야기

🎙️ 기술이 아닌 이야기로 시작해볼까?

"얘야, 옛날엔 말이야, 길 찾으려면 종이 지도 들고 다녔단다."

어느 날 할아버지가 해준 이 말에 깜짝 놀랐다. 종이 지도? 지금은 스마트폰이 다 해주는데! 심지어 실시간 교통까지 알려주는 시대 아닌가. 우리는 언제부터 이렇게 편해졌을까?

이 글은 어려운 기술 설명이 아니다. 우리가 모르게 내 삶에 들어온 '기술 친구들'에 대한 이야기다. 주인공은 인공지능(AI)이지만, 이름만 들으면 멀게 느껴지는 그 녀석이 사실은 우리 삶에 가장 가까이 있는 존재라는 걸 알려주고 싶었다. 그럼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 아침 7시 30분, 내 방에서 시작된 이야기

휴대폰 알람이 울린다. 어제보다 10분 늦게 울렸다. 왜? 내가 최근에 매일 늦게 잤다는 걸 스마트폰이 파악했기 때문이다.

침대에서 일어나 "오늘 날씨 어때?"라고 말하자, 스피커가 대답한다. 목소리는 나보다 더 부드럽고, 얘는 어제 내가 관심 가졌던 뉴스를 덧붙여 알려준다.

냉장고 문을 열었더니, “우유 유통기한이 이틀 남았어요”라고 알림이 뜬다. 아무 말도 안 했는데 왜 이렇게 다 알고 있는 거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이 모든 행동 뒤에는, 조용히 나를 관찰하던 '기술 친구'가 있다. 이름도 멋있게 인공지능이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나를 잘 이해해주는 조용한 비서 같은 존재다.


🏪 회사 가기 전, 편의점 앞에서

편의점에 들러 커피를 사려는데 계산대에 직원이 없다. 대신, 셀프 계산대 옆에서 이상하게 생긴 기계가 나를 빤히 바라본다. 상품을 대니 자동으로 금액이 찍히고, 결제를 완료하자 "감사합니다"라는 목소리가 들린다. 누군가 뒤에서 말하는 줄 알고 돌아봤는데 아무도 없다.

이쯤 되면 묻고 싶다. "너, 누구야?"

그건 바로 계산을 대신해주는 인공지능이다. 상품 인식, 재고 파악, 고객 패턴 분석까지 이 친구는 혼자서 모든 걸 해낸다. 게다가 피곤하지도 않다. 인간이 몇 시간 동안 교대하며 하던 일을 이 녀석은 24시간 해낸다.

중간광고자리


🏭 공장의 하루 – 기계도 보고, 생각도 한다

작업 현장에서 일하는 친구가 말했다. "요즘은 불량품 찾는 것도 AI가 다 해줘. 눈으로 일일이 안 봐도 돼."

카메라로 찍은 이미지를 AI가 실시간 분석해 결함 여부를 판단한다. 눈으로 보면 지나칠 수도 있는 미세한 흠집도 잡아낸다. 이 기술 덕분에 불량률이 낮아지고, 손실도 줄었다.

그런데 이건 단지 시작일 뿐이다. 생산량 예측, 원자재 수급 시기 계산, 날씨에 따른 출하 일정 조정까지. 이젠 '생각하는 공장'이 되어가고 있다.

기계가 손 대신 눈을, 눈 대신 머리를 쓰게 된 것.


🏥 병원의 복도 – 무심코 지나친 그 안내판

병원 로비에 있는 전광판에 환자의 번호가 뜨고, 진료실을 안내한다. 사실 이 전광판도 단순한 화면이 아니다. 수백 명의 예약자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동선과 대기 순서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작동 중이다.

그리고 의사 선생님이 환자 진단을 내리기 전, 컴퓨터 화면을 유심히 들여다본다. 그 안에는 AI가 분석한 환자의 검사 결과와 유사 사례 데이터가 담겨 있다.

심지어 어떤 병원은 AI가 암세포를 조기에 찾아내기도 한다. 그것도 사람이 놓칠 수 있는 초미세 단위까지.

의사는 이제 혼자가 아니다. AI라는 든든한 조수와 함께 진료하고 있다.


🚘 퇴근길 – 붐비는 도로에서 길을 찾다

회사에서 나와 차에 오르니, 내비게이션이 말한다. "예상 소요 시간은 47분입니다. 더 빠른 경로를 안내할까요?"

오늘은 사고가 있었나 보다. 실시간 도로 상황을 파악한 뒤 대체 경로까지 알려준다. 예전 같았으면 라디오 듣거나 직접 전화를 돌려가며 알아봐야 했던 일이다.

이제는 수천 대의 차량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교통 시스템이 그 정보를 바탕으로 '길을 설계'한다. 사람이 아니라, 시스템이 '길을 계산'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중간광고자리


🎮 밤 10시, 유튜브와 게임 속의 마법

집에 돌아와 소파에 앉는다. 유튜브를 켜자마자 "추천 영상"이 뜬다. 어젯밤에 본 다큐멘터리 때문인지, 오늘은 비슷한 주제의 영상이 자동으로 나온다.

게임을 켰더니 난이도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내가 계속 죽으면 쉬워지고, 잘하면 더 어려워진다. 누가 조절하는 걸까? 정답은 'AI 게임 마스터'.

그리고 어제 찍었던 사진들 중, 누가 찍은지도 모르게 보정된 이미지가 자동으로 정리돼 있다. 심지어 '강아지'라고 검색하면 내 강아지 사진만 쏙쏙 골라준다.

이쯤 되면 이제 AI는 마법에 가깝다. 단지 우리가 "기술"이라는 단어로 포장해두었을 뿐.


🔍 마무리하며 – 기술은 도구다, 이야기의 조력자다

AI는 '사람을 대체하는 무서운 기술'이 아니다. 오히려 사람을 도와주는 조용한 조력자다.

우리가 주인공이라면, AI는 무대 뒤에서 조명을 조절하고, 배경음악을 깔고, 흐름을 정리해주는 연출가 같은 존재다.

가장 중요한 건 우리가 어떻게 이 도구를 사용하는가에 있다.

  • 나를 더 편하게 만들기 위해서?
  • 남을 속이기 위해서?
  • 아니면 모두를 위한 사회적 가치를 만들기 위해서?

기술은 점점 더 똑똑해진다. 하지만 그 기술을 움직이는 손과 방향은 여전히 인간의 몫이다.

📌 출처: ythous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