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아두이노 GPIO 제어: 외부 LED 회로 연결과 코드 실습
이전 1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에 내장된 13번 LED를 제어해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브레드보드에 직접 LED를 연결하고, 아두이노의 디지털 출력(GPIO)을 통해 LED를 깜빡이게 만들어봅니다.
외부 부품을 사용하는 첫 번째 실습으로, 전자 회로에 익숙하지 않은 분도 브레드보드, 저항, LED의 연결 방식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안내할게요!
🧰 준비물
- 아두이노 UNO 보드
- 브레드보드
- LED 1개 (적색 또는 녹색)
- 220Ω 저항 1개
- 점퍼 와이어 3개
🔌 회로 구성
- 아두이노 D8 핀 → 220Ω 저항 → LED 긴 다리(애노드)
- LED 짧은 다리(캐소드) → GND 핀
- 브레드보드 사용 시, 저항과 LED를 같은 라인에 연결
💻 코드 작성: 외부 LED 깜빡이기
이번에는 D8 핀을 출력으로 설정하고, LED를 주기적으로 ON/OFF 합니다.
void setup() { pinMode(8, OUTPUT); // 8번 핀을 출력으로 설정 } void loop() { digitalWrite(8, HIGH); // LED ON delay(500); // 0.5초 대기 digitalWrite(8, LOW); // LED OFF delay(500); // 0.5초 대기 }
위 코드를 업로드하면 브레드보드에 연결된 LED가 0.5초 간격으로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실험 포인트
- delay 값을 변경해 LED 깜빡이는 속도 조절
- D8 대신 D2~D13 다른 디지털 핀 사용해보기
- 저항 없이 연결 시 LED 또는 보드 손상 위험
✅ 개념 복습
- GPIO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범용 디지털 핀으로, 입력/출력 설정 가능
- digitalWrite(): HIGH = 5V 출력, LOW = 0V 출력
- pinMode(): 해당 핀의 동작 모드 설정 (INPUT / OUTPUT)
📚 마무리
이번 2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의 디지털 출력 핀을 이용해 외부 LED를 제어해보았습니다.
이 실습은 센서, 릴레이, 모터 등 다양한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기본이 됩니다.
다음 3편에서는 버튼 입력을 받아 LED를 토글하는 구조를 배워보겠습니다. 입력과 출력을 함께 사용하며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실습으로 넘어갑니다 😊
반응형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아날로그 입력으로 LED 밝기 조절하기 — 가변저항 + PWM 제어 (0) | 2025.04.18 |
---|---|
아두이노 버튼 입력으로 LED 제어하기 — 디지털 입력 & 토글 제어 실습 (0) | 2025.04.18 |
아두이노 입문자를 위한 첫 걸음: 기본 개념과 개발환경 소개 (0) | 2025.04.18 |
아두이노를 이용한 자동화된 식물 관리 시스템 (0) | 2025.03.31 |
아두이노 기초 - 입출력 포트 설정 및 입출력 포트 제어 (0) | 202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