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31

아두이노로 부저 제어하기 — 비프음 출력 & 멜로디 연주

🔔 아두이노로 부저 제어하기 — 비프음 출력 & 멜로디 연주이번 실습에서는 아두이노로 **부저(Buzzer)를 제어**해봅니다. 부저는 전기를 이용해 간단한 **경고음 또는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전자 회로에서 소리 출력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부품입니다.아두이노에서는 tone() 함수를 이용해 주파수 기반의 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디지털 출력 or PWM 방식🔎 부저의 종류 액티브 부저: 전압만 걸면 일정한 소리를 냄. 주파수 제어 불가 패시브 부저: 주파수를 인가하면 다양한 음 출력 가능 (tone 함수 활용)🧰 준비물 아두이노 UNO 패시브 부저 1개 브레드보드 100Ω 저항 (필요 시) 점퍼선🔌 회로 연결 부저 +단자 → D9 부저 -단자 → GND💻 코..

아두이노 2025.04.18

버튼 2개로 LED 밝기 단계 조절하기 — PWM 제어 심화 실습

🔼🔽 버튼 2개로 LED 밝기 단계 조절하기 — PWM 제어 심화 실습이전 4편에서는 가변저항을 이용해 아날로그 입력으로 LED 밝기를 부드럽게 조절해보았습니다.이번에는 **버튼 2개를 활용해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구조를 구현해봅니다.이러한 제어 방식은 실제 기기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밝기 5단계, 볼륨 10단계 등 정해진 범위 내에서 값을 증감하는 UI 설계의 기초가 됩니다.🧰 준비물 아두이노 UNO 브레드보드 푸시버튼 2개 220Ω 저항 + LED 10kΩ 저항 2개 (풀다운용) 점퍼선🔌 회로 연결 D2 → 버튼1 (밝기 증가), D3 → 버튼2 (밝기 감소) 각 버튼의 다른 단자 → 5V D2, D3 각 핀과 GND 사이에 10kΩ 풀다운 저항 ..

아두이노 2025.04.18

아두이노 아날로그 입력으로 LED 밝기 조절하기 — 가변저항 + PWM 제어

🎚 아두이노 아날로그 입력으로 LED 밝기 조절하기 — 가변저항 + PWM 제어아두이노의 아날로그 입력 핀을 통해 외부 신호를 읽고, 그 값을 이용해 LED 밝기를 제어하는 실습을 해보겠습니다.이번 실습에서는 가변저항(포텐셔미터)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값을 입력받고, 이를 PWM 출력으로 변환해 LED 밝기를 부드럽게 변화시킬 것입니다.🧰 준비물 아두이노 UNO 브레드보드 가변저항(포텐셔미터) 1개 LED 1개 220Ω 저항 점퍼 와이어🔌 회로 연결 가변저항 양쪽 → 5V, GND 가변저항 중앙 → A0 (아날로그 입력) D9 → 220Ω → LED → GND (PWM 출력 핀)💻 코드 작성: 아날로그 → PWM 변환int potPin = A0; // 가변저항 입력 핀in..

아두이노 2025.04.18

아두이노 버튼 입력으로 LED 제어하기 — 디지털 입력 & 토글 제어 실습

🔘 아두이노 버튼 입력으로 LED 제어하기 — 디지털 입력 & 토글 제어 실습지금까지 아두이노로 LED를 단순히 ON/OFF 하는 실습을 해보았습니다.이번 3편에서는 **버튼을 눌렀을 때 LED의 상태가 바뀌는** 디지털 입력 제어를 실습합니다.이 구조는 아두이노에서 **입력(버튼) → 조건 판단 → 출력(LED)** 흐름을 이해하는 가장 기초적인 예제이며, 다양한 센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시작점이기도 합니다.🧰 준비물 아두이노 UNO 브레드보드 푸시버튼 1개 220Ω 저항 1개 (LED용) 10kΩ 저항 1개 (풀다운용) LED 1개 점퍼 와이어🔌 회로 연결 D2 → 버튼 한쪽 버튼 다른 쪽 → 5V D2와 GND 사이에 10kΩ 저항 연결 (풀다운 저항) D8 → 220Ω..

아두이노 2025.04.18

아두이노 GPIO 제어: 외부 LED 회로 연결과 코드 실습

💡 아두이노 GPIO 제어: 외부 LED 회로 연결과 코드 실습이전 1편에서는 아두이노 보드에 내장된 13번 LED를 제어해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브레드보드에 직접 LED를 연결하고, 아두이노의 디지털 출력(GPIO)을 통해 LED를 깜빡이게 만들어봅니다.외부 부품을 사용하는 첫 번째 실습으로, 전자 회로에 익숙하지 않은 분도 브레드보드, 저항, LED의 연결 방식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안내할게요!🧰 준비물 아두이노 UNO 보드 브레드보드 LED 1개 (적색 또는 녹색) 220Ω 저항 1개 점퍼 와이어 3개🔌 회로 구성 아두이노 D8 핀 → 220Ω 저항 → LED 긴 다리(애노드) LED 짧은 다리(캐소드) → GND 핀 브레드보드 사용 시, 저항과 LED를 같은 라인에..

아두이노 2025.04.18

아두이노 입문자를 위한 첫 걸음: 기본 개념과 개발환경 소개

🧠 아두이노 입문자를 위한 첫 걸음: 기본 개념과 개발환경 소개아두이노(Arduino)는 초보자도 쉽게 다룰 수 있는 오픈소스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입니다. 전자 회로와 프로그래밍을 몰라도, 간단한 LED 제어나 센서 활용 등을 빠르게 실습할 수 있어 교육용, 시제품 제작용으로 인기가 높습니다.이 시리즈는 **아두이노 완전 초보자**를 위한 입문 가이드로, 1편에서는 개념 이해와 개발 환경 설정, 그리고 첫 실습인 LED 깜빡이기까지 다룹니다.📌 아두이노란 무엇인가? 오픈소스 기반의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주로 ATmega328P (UNO 기준) 사용 C/C++ 기반의 간단한 언어와 풍부한 라이브러리 제공 센서, 모터,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부품과 호환💡 아두이노의 장점 저렴한 가격, 쉬운 ..

아두이노 2025.04.18

10회: “우리 팀답게 일한다”는 말이 들리게 하라

시리즈 완결 – 《경영자의 말과 리더십》: 조직을 움직이는 말, 멈추게 하는 말 “우리는 다르다”는 자부심은, 말에서 시작된다팀의 수준은 ‘성과’ 이전에 **‘말의 문화’**에서 드러납니다.당신의 팀은 어떤 언어로 일하고 있나요?“일단 해봐.”“그건 우리 팀답지 않아.”“우린 이렇게 결정하지 않지.”“이 정도로는 부족해.”이 짧은 말들 속엔 그 팀만의 철학, 정체성, 자부심이 담겨 있습니다.1. '우리 팀다움'이 만들어질 때팀의 문화는 선언이 아니라,매일의 말과 행동에서 만들어집니다.요소예시 문장의미결정 방식“우린 근거 없이 움직이지 않아요.”데이터 기반 문화협업 태도“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에요. 같이 가요.”책임 공유성과 기준“그냥 끝내는 게 아니라, 배움이 남아야죠.”성장 중심2. 리더의 언어..

9회: 불만을 기회로 바꾸는 리더의 질문

“문제를 막으려 하지 말고, 말을 끌어내라”대부분의 리더는 불만을 해결해야 할 골칫거리로 인식합니다.하지만 똑똑한 리더는 알고 있죠.불만은 곧 조직이 성장할 ‘단서’라는 사실을.진짜 문제는 ‘불만’이 아니라,그 불만이 말로 나오지 않고 눌려 있는 상태입니다.불만을 꺼내는 질문을 할 줄 아는 리더는,조직의 분위기를 바꾸고 팀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1. 불만을 드러내게 만드는 질문🔎 리더가 자주 던져야 할 질문들:“이 방식이 불편한 점이 있다면 어떤 부분인가요?”“요즘 일하면서 아쉬운 점이나 불만은 없으세요?”“다시 선택할 수 있다면, 어떤 방식을 택하고 싶나요?”“만약 내가 팀원이었다면, 어떤 점이 불편했을까요?”→ 중요한 건 ‘답’이 아니라, 그 사람이 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는 점입..

8회: "성과 면담을 살리는 한 마디, 망치는 한 마디"

“말 한 마디가 성장을 설계하거나, 신뢰를 무너뜨린다”성과 면담은 리더와 구성원이 1:1로 만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하지만 많은 리더들이 그 기회를 ‘평가의 자리’로만 소비하고, 말 한 마디로 동기를 꺾거나, 신뢰를 잃는 실수를 범하곤 합니다.오늘은 성과 면담의 목적을 재정의하고, 리더의 언어가 팀의 성장을 어떻게 결정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성과 면담의 진짜 목적은 '정렬과 성장을 위한 대화'성과 면담은 단순한 ‘피드백 시간’이 아닙니다.그보다 훨씬 더 중요한 세 가지 목적이 있습니다:🎯 방향 정렬: “우리가 향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학습과 성장: “지금까지 무엇을 배웠고, 다음엔 무엇을 시도할 수 있을까?”🤝 관계 강화: “당신의 성장을 나는 진심으로 지지하고 있다는 메시지” 2. 망치는 ..

7회: "목표 설정의 진화: OKR(목표 및 핵심 결과) 기법"

“성과를 만드는 리더는 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정렬'시킨다”많은 리더가 성과에 대한 압박 속에서 SMART 목표 설정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조직은 단순히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세우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조직 전체가 하나의 방향을 향해 정렬될 수 있도록 목표를 ‘공유’하고, ‘영감’을 주는 방식으로 전달해야 합니다.그 핵심에 있는 도구가 바로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입니다.1. OKR이란 무엇인가?OKR은 간단하지만 강력한 구조입니다.🎯 Objective (목표): “무엇을 이루고 싶은가?”정성적이고 방향 중심적인 선언입니다.예: “고객이 감동하는 서비스 제공”📏 Key Results (핵심 결과): “그걸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구체적이고 정량..

반응형